18개월아기입니다. 만약에 딸기 줄께~ 이렇게 말이 나오면 냉장고 앞에서서 엄청 칭얼칭얼 거리구여…씻고 짤라서 주는 그 과정을 절대 기다리질 못해요….배고프다고 징징거려서 밥주려고 하면 차리는 그 순간을 못기다려서 또 한참을 징징 거리고 울고 난리가 나구여…
왜이렇게 참을성이 없을까요? 제가 기다려 엄마가 금방씻어서 줄꼐~~ 이렇게 말해도 무조건 징징….
참을성은 시간을 두고 천천히 습득하게되는 품성입니다. 아가는 엄마/아빠 가족간의 감정(애정)의 반복적으로 주고 받게 되면서(교육/훈련의 과정) 참을성을 비롯한 사회생활의 기본적인 규칙을 느끼며 습득하게 됩니다.
보통 참을성은 원만하게 습득하게 됩니다. 그러나, 감정 표현을 원만하게 조절되지 않는다면, 아가는 공격적인/과격한 행동을 하게 되겠지요.
아가의 타인 및 외부에 대한 참을성은 나이게 따라 성숙하게 됩니다.
12~18 개월이 되거나, 첫돌이 지나면 아가는 엄마/아빠의 눈치를 알고, 때론 협조적(!)인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, 때론, 독립적인 성향(!)을 보여주기도 합니다. 이때부터 떼쓰고 고집부리는 모습을 많이 보이기 시작합니다.
19~ 24 개월이 되면, 좀더 참을성을 보여줍니다. 예를 들면, 생일 촛불을 불 때, 촛불을 불어 끄기 전까지 기다리기도 합니다. 간혹, 화장실에서 엄마/아빠를 혼자서 잠시 기다릴 수도 있습니다.
웬지, 엄마/아빠의 손길 없이도 뒤에서 졸졸 잘 따라 옵니다. 이시기에는 금지/제한의 표현(하지마!!, 안돼!!) 보다는, 칭찬/긍정(잘했어요!!!,예뻐요!!!)의 칭찬이 도움이 됩니다.
또한, 또래/형제와의 장난감가지고 싸우기 시작하는 나이입니다.
25~ 30 개월이 되면, 언어발달이 진행되면서, 행동보다는 말로 자신의 감정/요구를 표현합니다. 계단을 오를 때, 혼자서 “조심해”하며 중얼거리기도 하구요. 집에서 엄마/아빠의 설거지를 돕거나, 식탁 준비하면서 그릇 옮기는 것을 도와주기도 하지요.
31~ 36 개월이 되면, 또래들과 장난감을 나누어서 놀기도 하고, 자기 순서를 기다리기도 합니다. 울고 있는 또래의 등을 만져주며, 달래는 시늉을 하기도 한다. 즉, 또래 집단 생활이 가능한 나이에 들어서게 됩니다.